-
포트폴리오의 구조 및 최적화 관련
면접관들이 개발자 도구를 통해 불필요한 리렌더링 발생 여부 등을 어느 정도까지 평가하는지?
- 면접관들은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성능 최적화를 기대함
- 불필요한 리렌더링을 완전히 제거할 필요는 없지만, 명백한 성능 문제는 해결해야 함
- 주요 기능과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 집중하는 것이 좋음(비즈니스적 관점)
어느 수준까지 최적화 작업을 해야 하는지?
- 가장 중요한 점은 성능 최적화에 대한 이해도를 보여주는 것
- React.memo, useMemo, useCallback 등의 적절한 사용
- 데이터가 많은 내용들에 대한 가상화 적용
- 이미지 최적화
- 코드 스플리팅
포트폴리오 전체를 반드시 최적화해야 하는지?
- 전체를 다 최적화 할 필요는 없지만 완성도 측면에서는 반복적인 작업들이 많기 때문에 꼼꼼하게 해주시는 것이 그렇게 시간을 많이 증가시킬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음
-
포트폴리오 제작 기간
면접에서 긴 제작 기간을 어떻게 긍정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?
- 중요한 것은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품질 높은 결과물을 만드는 능력
- 프로젝트 기간이 X개월 걸렸습니다. 이 기간 동안 기본 기능 구현뿐만 아니라 코드 품질, 확장성, 사용자 경험 개선에도 집중했습니다. 예를 들어, ~~~를 통해 유지보수성을 향상시켰고, ~~~로 사용자 경험을 개선했습니다
회사에서 무조건 짧은 제작 기간을 선호하는지?
- 회사들은 반드시 짧은 제작 기간만을 선호하지는 않음
- 우리가 생각하듯이 면접관도 생각함, 본질, 솔직함이 중요함
-
Next.js 공부 필요성
Next.js를 필수로 다룰 줄 알아야 하는지?
- Next.js는 현재 프론트엔드 개발에서 매우 중요한 프레임워크
- SSR, SSG, API 라우트 등을 이해하고 있으면 좋음
- 하지만 현실적으로 6개월 내에 모든 것을 익히는 것이 깊이 있게 하기가 쉽지 않음
- 협업 프로젝트, 개인 프로젝트 1회 더 하는 것도 좋은 방향
- 포트폴리오라도 제작하는 것 추천
어느 정도까지 다룰 수 있으면 좋은지?
- Next.js로 간단한 프로젝트를 만들어 보고, 그 과정에서 배운 점들을 설명할 수 있으면 충분
-
포트폴리오 제작
전체 포트폴리오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있는지?
- 포트폴리오를 별도로 제작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.
- 자신만의 개성을 보여줄 수 있음
- 기술 면접관에게 안내하기가 쉬움(UX 고려)
- 기술 스택을 직접 구현한 부분들을 보여줄 수 있음
노션과 같은 툴로 충분한지?
- 충분 하고, 필요시에는 페이지를 만드는 것도 좋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