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도메인 중심 구조 논의:
- 도메인 중심으로 각 회원, 로그인, 게시판 단위로 컨트롤러, 서비스, 레포지토리 구성하는 방식
- 계층형 구조는 초기 프로젝트나 작은 규모에서 유리하지만, 유지보수나 확장성이 떨어질 수 있음
- 중대형 프로젝트에서는 도메인 중심의 구조가 더 일반적임 -> 도메인 중심 구조 채택
2. 브랜치 관리:
- 개인 브랜치를 생성하면 충돌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의견
- 브랜치를 기능별로 나누고, 푸시와 머지는 모든 팀원의 승인을 받은 후 진행하기로 합의.
- 브랜치 명칭 제안:
feature/sign-up
, feature/login
, feature/password
, feature/member
3. DTO 및 엔티티 네이밍:
- DTO와 컨트롤러에는 접미사를 붙이고, 엔티티는 접미사 없이 이름만 사용하기로 함
- DTO는
MemberRequest
, MemberResponse
와 같이 별도 클래스로 구분
4. PR 및 이슈 관리:
- PR은 작은 단위로 자주 하며, AS-IS와 TO-BE 형식으로 작성
- 이슈 템플릿도 설정하여 트러블슈팅 기록을 남길 예정
- PR 시, 커밋 템플릿을 사용해 코드 변경 사항을 기록하고, 이슈 템플릿으로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상황을 공유
5. 보안 및 설정 관리:
- 보안 설정 파일(yml 등)은 GitHub에 올리지 않고, 노션이나 구글 독스를 통해 공유하기로 함
- 개발 초기에는 JWT 기반 인증을 사용하고, 이후에 시큐리티를 적용하기로 합의
6. 회원 기능 개발 분담: